손톱 물어 뜯기 (Onychophagia)의 모든 것

손톱 물어 뜯기 (Onychophagia)는 전체 인구의 20~30%에서 발행하는 흔한 질환으로, 특히 어린이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신체 집중 반복 행동(BFRB) 중 하나 이다. 어린이의 손톱 물어 뜯기 방지, 원인,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자.


손톱 물어 뜯기 발생 연령

손톱 물어 뜯기 children nail biting, Onychophagia
손톱 물어 뜯기 children nail biting, Onychophagia
  • 평균 발병 연령: 5세
  • 3세 이하 어린이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음.
  • 청소년기에 최고조에 달하며, 사춘기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
  • 성인기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일란성 쌍둥이(MZ twins)에서 이란성 쌍둥이(DZ twins)보다 손톱 물어뜯기의 일치율이 높음
  • 부모가 손톱을 물어뜯는 경우, 자녀도 같은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

손톱 물어 뜯기 원인

  • 심리적 요인: 스트레스, 불안, 긴장, 낮은 자존감
  • 유전적 요인: 부모가 손톱을 물어뜯는 경우 자녀도 같은 습관을 가질 확률이 높음
  • 환경적 요인: 가정 내 갈등, 새로운 환경(학교 적응, 친구 관계 문제 등)
  • 신경 생리학적 요인: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가능성
  • 행동적 요인: 지루함, 습관적 행동 패턴

손톱 물어 뜯기 영향

신체적 영향

  • 손톱 변형 및 성장 장애
    • 손톱이 비정상적으로 짧아지고, 손톱 끝이 울퉁불퉁하며 갈라질 수 있음(층판형 조갑분리증, lamellar onychoschizia).
    • 심한 경우 손톱 바닥까지 물어뜯거나 손톱이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음.
    • 손톱 주위 피부가 거칠어지고, 손톱 주름(nail folds)이 손상될 수 있음
  • 세균 감염
    • 세균성 또는 곰팡이 감염 → 급성 또는 만성 조갑주위염(paronychia).
    • 바이러스 감염 → 단순포진(herpetic whitlow), 사마귀(subungual verruca vulgaris).
    • 뼈 감염 → 골수염(osteomyelitis).
  • 치아 및 잇몸 건강 문제
    • 턱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syndrome).
    • 구강 내 세균 증가(예: 대장균,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 치아 교정 문제(예: 치근흡수, 치아 과밀, 회전, 부정교합).
    • 손톱 조각 흡인 시 크루프(Croup) 유사 증상 발생 가능.
  • 위장 장애(손톱 조각 섭취로 인한 소화 문제)

심리적 영향

  • 낮은 자존감 및 수치심
  • 스트레스 증가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
  • 강박 행동 및 불안 장애로의 발전 가능성

사회적 영향

  • 친구들 사이에서의 조롱 및 사회적 위축
  • 손톱 외형 변화로 인한 대인관계 문제

손톱 물어 뜯기 방지 및 치료

행동 치료

인지 행동 치료(CBT)

  • 심리치료의 한 유형으로, 인지적·행동적·학습 원리에 기반함.
  • 단순한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을 때 효과적.
  • 환자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신념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하고, 부정적인 감정과 관련된 습관을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도움.
  • 경쟁 반응(competing response) 기법을 활용하여, 손톱을 깨무는 대신 껌을 씹는 등 대체 행동을 유도.

대인 관계 치료(IPT)

  • 대인관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 치료법.
  • 대인관계를 개선하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

변증법적 행동 치료(DBT)

  • 주로 성격 장애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함.
  • 유해한 행동 패턴을 변화시키도록 설계됨

습관 반전 치료(HRT)

  • 손톱 깨물기와 같은 습관을 추적하여 보다 생산적인 습관으로 대체하도록 하는 치료법.
  • 자동 반응이 약할 때 효과적.
  • 4단계 과정: 호흡 및 안정감 향상 → 이완 훈련 → 근육 반응 훈련 → 자기 통제력 및 자존감 향상.
  • 주요 구성 요소:
    • 인식 훈련: 습관을 의식하게 함.
    • 이완 훈련: 긴장을 완화함.
    • 경쟁 반응 훈련: 손톱을 깨무는 행동을 신체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대체 행동 수행(예: 손에 물건 쥐기).
    • 사회적 지지: 긍정적 강화 및 피드백 제공.

감정 자유 기법(EFT)

  • 자기 관리 기법이자 에너지 치료법.
  • 습관적 행동을 조절하고 원치 않는 습관 패턴을 극복하는 데 효과적.
  • 스트레스나 긴장을 관리하는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도록 도움.
  • 심리적 지압 기법(탭핑 기법) 사용: 머리, 눈썹, 눈 옆, 콧등, 턱, 쇄골, 겨드랑이 등 특정 경락 부위를 손가락으로 두드려서 심리적 안정 유도

물리적 차단

손톱 관리

  • 손톱 깨물기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화장품 활용
  • 손톱 깨물기의 사회적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
손톱 물어 뜯기 방지 매니큐어
손톱 물어 뜯기 방지 매니큐어

혐오 자극

  • 손톱에 쓴맛이 나는 물질을 발라 손톱 깨물기 행동을 억제하는 기법. (ex: 손톱 깨물기 방지 매니큐어)
  • 강화 학습을 기반으로 함.

테이프나 장갑 착용

  • 반창고, 테이프, 장갑을 착용하여 손톱 물어 뜯기 방지

심리적 지원

스트레스 관리

  • 명상, 요가, 심호흡, 예술 활동 등을 통한 정서 조절

사회적 지지

  • 가족, 교사, 친구들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격려 제공

부모의 역할

  • 아이를 비난하는 대신 공감하며 대화하고, 적절한 행동을 보일 때 칭찬하기

정서적 대체 활동

  • 음악 감상, 운동, 그림 그리기 등으로 스트레스를 건강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유도

약물 치료

심리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사용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플루옥세틴(Fluoxetine) 등
  • 삼환계 항우울제(TCA):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
  • 리튬(Lithium): 조울증 및 우울증을 동반한 손톱 깨물기 환자에게 효과적
  •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제한적인 효과를 보이는 치료제

참고 문헌

  1. Baghchechi, M., Pelletier, J. L., & Jacob, S. E. (2021). Art of Prevention: The importance of tackling the nail biting habit.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dermatology7(3), 309-313.
  2. Siddiqui, J. A., & Qureshi, S. F. (2020). Onychophagia (nail biting): An overview. Indian Journal of Mental Health7(2), 97.
  3. Cohen, P. R. (2022). Nail-associated body-focused repetitive behaviors: habit-tic nail deformity, onychophagia, and onychotillomania. Cureus14(3).
WP2Social Auto Publish Powered By : XYZScripts.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