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 지방세 완납 증명서 전입세대확인서 발급 방법

부동산 전세 계약 시 주인(임대인) 준비 서류로 추가된 국세, 지방세 완납증명서와 전입세대확인서 발급 방법을 알아보자.

국세, 지방세 완납증명서는 인터넷 무료 발급이 가능하지만(6시~22시), 전입세대확인서는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발급 받아야 한다.

국세 완납 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1. 정부24 사이트에 사이트에 접속한다. https://www.gov.kr/portal/main
  2. 본인 인증을 한다.
  3. 납세증명서 발급‘ 을 검색한다. (발급서식간편이름 : C283B) – 국세 완납 증명서와 납세증명서는 같은 증명서임.
  4. 주민번호 공개여부, 주소 공개여부, 사용목적 공개여부를 선택한다.
    • 부동산 거래용으로 사용할 때는 주민번호와 주소를 공개로 선택한다. 사용목적은 기타란에 ‘부동산 거래’ 로 입력해도 좋다.
  5. 수령 방법을 온라인발급(본인출력) 선택하고 신청을 누른다.
  6. 문서 출력 버튼 > 인쇄 를 누르면 바로 인쇄를 하거나, PDF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증명서 유효기간은 신청일로부터 30일이다. 특별히 체납 내역이 없다면 연장,유예 내역과 체납내역이 공란으로 비어있는 게 맞다.

지방세 완납 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1. 정부24 사이트에 사이트에 접속한다. https://www.gov.kr/portal/main
  2. 본인 인증을 한다.
  3. 지방세 납세증명 발급‘ 을 검색한다. – 지방세 납세증명서는 국세완납증명서(납세증명서)와 별개이니 따로 발
  4. 사업자 구분, 주민등록번호표기방법, 성명,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증명서 사용 목적을 선택한다.
    • 부동산 거래용으로 사용할 때는 주민번호와 주소를 공개로 선택한다.
    • 주소를 검색한 후 행정처리기관을 선택해야 한다. ex: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세무과
    • 사용목적은 그 밖의 목적에 ‘부동산 거래’ 로 입력해도 좋다. (부동산 신탁등기용으로 발급받을 경우에는 인터넷 발급이 안되고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한다.)
  5. 민원 신청하기 버튼을 누른다.

6. 문서 출력 버튼 > 인쇄 를 누르면 바로 인쇄를 하거나, PDF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전입세대확인서 발급 방법

  1. 신분증을 지참하여 가까운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한다. 영업시간 평일 9:00~18:00
  2. 전입세대확인서 신청서를 작성하고, 임대인 발급인지, 임차인 발급인지 밝힌다.
  3. 발급 수수료 400원 지불.

전입세대 확인서에는 현재 소유 건물에 살고 있는 세대 주의 성명과 전입 일자를 확인할 수 있다.

증명서 유효기간은 신청일로부터 30일이다.

정리하자면, 부동산 전세 계약 시 주인(임대인) 준비 서류는 다음과 같다.

  1. 신분증, 도장
  2. 국세, 지방세 완납 증명서 (공동명의일 경우 각각 준비)
  3. 전입세대확인서

공동 명의일 경우 국세, 지방세 완납 증명서도 각각 준비하도록 하자.

WP2Social Auto Publish Powered By : XYZScripts.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