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의 항뮬러관호르몬 (AMH) 정상 수치

항뮬러관호르몬 AMH 정상 수치

항뮬러관호르몬 (Anti-Mullerian hormone, AMH) 은 여성의 난소 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난소 예비 지표이다.

국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여성의 항뮬러관호르몬 정상 수치에 대하여 알아보자.

항뮬러관호르몬이란?

항뮬러관호르몬 (AMH) 이란, 여성의 난소 내 난포의 과립막세포에서 분비되어 성숙 난포 개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AMH 혈중 농도 측정을 통하여, 향후 배란 가능한 난포 수가 얼마나 되는지 예측할 수 있다.

가임기 여성에서 연령대에 비해 AMH 수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다면 조기난소부전 등 난소 기능 저하를 의심할 수 있다.

반면, AMH 수치가 매우 증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낭성난소증후군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다른 여성 호르몬 검사와는 달리, AMH는 생리주기 내에서 수치의 변화가 가장 적기 때문에 생리주기와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AMH는 나이가 들면서 가장 먼저 변화하기 때문에, 가장 빨리 난소 기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항뮬러관호르몬의 임상적 활용

항뮬러관 호르몬 검사

  • AMH 검사는 평균 18분 만에 결과를 제공하여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다.
  • 기존의 여러 호르몬 검사(FSH, LH, 에스트라디올 등)를 대체할 수 있는 비용 효과적인 방법이다.
  • AMH 검사는 0.03ng/mL 의 낮은 농도에서도 검출이 가능하다.
  • AMH 테스트는 비급여 항목이기 때문에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고, 병원마다 검사 비용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AMH 검사 비용은 일반적으로 6만원- 8만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대학병원의 경우 10만원 정도)
  • 난임 치료와 관련하여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다낭성난소증후군 여성에서의 항뮬러관호르몬 수치

  •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있는 여성에서 AMH 수치는 정상 여성보다 2-3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국내 한 연구에 의하면, 다낭성난소증후군 여성에서 AMH 농도는 평균 10.4ng/mL, 중앙값 9.4ng/mL로 측정 되었다.

난임 여성에서의 항뮬러관호르몬 수치

  • 난임 상태 평가 시 난소 기능 저하 여부 판단에 AMH가 활용될 수 있다.
  • 난임 치료 시 과배란 유도 후 AMH 수치가 0.5-0.8 ng/mL 미만 일 때, 저반응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폐경 여성에서의 항뮬러관호르몬 수치

  • 연구에 따르면, 폐경에 임박한 여성의 AMH 수치는 0.042 ng/mL 였다.

한국 여성의 항뮬러관호르몬 정상 수치

연구 1.

한 연구에서 국내의 건강한 1,953명 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령별 AMH 수치 결과는 다음과 같다.

AMH 수치는 35세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며, 40세부터 갈수록 크게 감소하였다.

항뮬러관호르몬 연령별 정상 수치
항뮬러관호르몬 연령별 정상 수치

연구 2.

또다른 연구에서 국내의 건강한 2,879명 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령별 AMH 수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을 세분화 하여 분석하였다.

항뮬러관호르몬 연령별 정상 수치
항뮬러관호르몬 연령별 정상 수치
  1. You, S. Y., Park, S. Y., Yang, G. Y., Jeong, K. A., Kim, Y. J., & Chung, H. W. (2012). Anti-Müllerian hormone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55(5), 315-324.
  2. Lee, J. E., Park, D. S., Kim, M. L., Yoon, B. S., Song, T., Kim, M. K., … & Kim, Y. J. (2012). Age-related distribution of anti-Müllerian hormone levels in 2,879 Korean women with regular menstruat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55(12), 920-928.
  3. Ji, M., Kim, K. R., Kim, H. K., Lee, W., Yun, Y. M., Chun, S., & Min, W. K. (2022). Age group-specific reference intervals for the Elecsys anti-Müllerian hormone assay in healthy Korean wome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42(6), 621-629.
WP2Social Auto Publish Powered By : XYZScripts.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