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멜라인(Bromelain)이란, 파인애플에서 추출한 천연 효소로 항염, 항암, 면역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최신 논문을 바탕으로 그 효능과 임상적 근거에 대하여 알아보자.
브로멜라인 효능
심혈관계 효능
브로멜라인은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해 동맥혈전증 및 색전증 예방에 기여하며, 협심증, 일과성 허혈성 발작(TIA), 혈전정맥염 예방 및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에 따르면 허혈/재관류 손상에도 보호 효과를 보였다.
혈액 응고 및 섬유소 용해
- 혈액 응고 및 섬유소 용해→ 플라스민 전환 유도
- 혈액 점도 감소, 혈전 용해
- PT, APTT 시간 연장 등 혈액 응고 억제
- 브래디키닌 생성을 억제, 통증 및 염증 완화
심혈관 질환
- 심근 효율성 증가, 협심증 및 색전증 예방
- 혈관 확장, 산소공급 개선, 고혈압 완화
- 허혈성 손상 보호, 근육 조직 손상 회복 촉진
- 혈소판 응집 억제 및 혈류 개선
항암 효과
브로멜라인은 세포자멸사 유도, p53 및 Bax 발현 증가, Akt/Erk 억제, NF-κB 및 Cox-2 억제, 암세포 침윤력 감소 등의 기전을 통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암세포 억제
- 세포자멸사 유도(p53, Bax 활성화)
- NF-κB, COX-2, PGE2 억제 → 종양 성장 억제
- 폐암, 위암, 유방암 등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 및 침윤력 감소
- 5-FU와 병용 시 항암효과 증대
항염증 효과
항균 작용
- 장내 유해균(대장균, 콜레라균 등) 억제
- 항생제 흡수 촉진 (ex. 아목시실린)
- 항진균 작용 (ex. 칸디다균 사멸 촉진)
- 면역세포(대식세포 등)의 식작용 유도
화상 치료 및 괴사조직 제거
- 35% 브로멜라인 크림: 2~3도 화상 부위 괴사조직 제거, 회복 가속화
- 수술적 제거보다 안전하고 통증이 적음
- 표피 재생 및 혈류 회복 개선 효과 입증
브로멜라인은 T세포, 대식세포, NK세포의 표면 부착분자를 조절하고, IL-1β, IL-6, TNF-α 같은 사이토카인을 유도한다. 또한 T세포 신호전달 차단 및 CD4+ 활성 감소 등 면역 조절 효과를 보인다.
면역 관련 효능
항염증 효과
- 면역세포 조절: T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활성 조절
- 사이토카인 조절: IL-1β, IL-6, TNF-α 분비 억제
- ERK2, Raf-1 경로 차단, 염증성 신호 전달 억제
알레르기성 기도질환 (천식 등)
- CD4/CD8 T세포 비율 조절
- 기도 과민반응 완화
관절염
-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과 경직 완화
- 브래디키닌 억제를 통한 진통작용
- NSAIDs의 대체재로 주목
염증성 장질환
- INF-γ, TNF-α, G-CSF 등 염증 매개물질 억제
- 대장염 증상 완화, 점막 치유 촉진
부비동염(축농증)
- 염증 억제, 점액 제거 촉진
- 어린이 중이염, 축농증 회복 기간 단축
COVID-19 관련 효능
브로멜라인은 ACE2, TMPRSS2, S-단백질 억제를 통해 SARS-CoV-2 침입을 막을 수 있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혈전 억제, 브래디키닌 경로 차단 작용으로 코로나 증상 완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유망한 천연 후보 물질로 평가되고 있다.
브로멜라인 독성 및 안전성
브로멜라인은 마우스, 개, 토끼 실험에서 매우 낮은 독성(LD50 > 10g/kg)을 보였으며, 6개월간 고용량(750mg/kg) 투여 시에도 이상 반응이 없었다.
- 12 g/일 (=1200mg/day) 투여 시 부작용 없음
- 경구 복용 후 1시간 이내 혈중 최고 농도 도달
- 위산 및 혈중에서도 일정 시간 효소 활성 유지됨
브로멜라인 결론
브로멜라인은 높은 생체이용률, 낮은 독성, 광범위한 생리활성을 가진 다기능 효소이다.
경구 투여에도 활성 효소 상태를 유지하며, 암, 심혈관 질환, 염증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활용 가능하다.
참고 문헌
- Varilla, C., Marcone, M., Paiva, L., & Baptista, J. (2021). Bromelain, a group of pineapple proteolytic complex enzymes (Ananas comosus) and their possible therapeutic and clinical effects. A summary. Foods, 10(10), 2249.
- Pavan, R., Jain, S., Shraddha, & Kumar, A. (2012). Properties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bromelain: a review. Biotechnology research international, 2012(1), 976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