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유발 빈혈과 철 결핍, 스포츠 빈혈의 모든 것: 원인부터 예방법까지

운동 유발 빈혈과 철 결핍, 스포츠 빈혈의 원인, 증상, 진단, 예방법까지 한눈에 정리! 마라톤, 러닝, 체조 등 지구력 운동을 즐기는 분들과 여성, 청소년, 채식주의자 등 빈혈 위험군이 꼭 알아야 할 운동 관련 건강 상식과 실질적인 관리법을 알아보자.


운동 유발 빈혈이란?

운동 유발 빈혈격렬한 신체 활동이나 지속적인 운동으로 인해 적혈구가 파괴되거나, 철분이 과도하게 소실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

운동을 많이 하면 혈장량이 증가해 혈액이 희석되어 실제로는 빈혈이 아님에도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반복적인 운동으로 인한 철 손실이 누적되면 진짜 철 결핍성 빈혈로 이어질 수 있다.

운동 유발 빈혈
운동 유발 빈혈

운동 관련 용혈성 빈혈의 주요 원인

  • 기계적 충격: 달리기, 파워워킹 등에서 발바닥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적혈구를 손상시켜 용혈을 유발한다. 실제로 러너의 적혈구 수명은 일반인보다 40%까지 줄어든다.
  • 혈관 내 용혈: 강한 근수축, 혈관 수축, 산화 스트레스 등으로 적혈구가 혈관 내에서 파괴된다.
  • 산화 스트레스 및 대사성 손상: 격렬한 운동 시 산소 부족, 젖산 축적, 탈수 등으로 적혈구막이 약해져 파괴가 촉진된다.
  • 혈뇨 및 미세출혈: 장거리 달리기, 마라톤 등에서는 방광이나 신장에 미세 손상이 발생해 혈뇨가 동반될 수 있다.
  • 철분 손실: 땀, 혈뇨, 위장관 출혈, 염증, 용혈 등 다양한 경로로 철분이 소실된다.

증상 및 진단

  • 주요 증상: 만성 피로, 무기력, 운동 시 숨참, 두근거림, 어지럼증, 집중력 저하, 피부와 점막의 창백, 심한 경우 황달과 혈뇨가 나타난다.

  • 진단 방법:
    • 혈액검사(헤모글로빈, 망상적혈구, 빌리루빈, haptoglobin 등)
    • 말초혈액 도말검사(적혈구 형태 이상 확인)
    • 운동 습관 및 병력 청취

실제 사례로 보는 운동 유발 빈혈

  • 사례 1:
    • 24세 여성, 체조 훈련 후 심계항진, 피로, 숨참.
    • 철분 보충과 운동 중단 후 3개월 만에 빈혈 및 페리틴이 정상화된다.
  • 사례 2:
    • 29세 여성, 마라톤 준비 중 만성 피로와 낮은 페리틴.
    • 운동을 지속하면 저장 철분은 낮은 상태가 유지된다.
  • 사례 3:
    • 27세 여성, 저체중 및 채식주의자, 주 4회 장거리 달리기.
    • 철분 보충 후 정상화된다.

이처럼 젊은 여성, 지구력 운동 선수, 식이 제한자 등에서 운동 유발 빈혈이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스포츠 빈혈과 철 결핍

  • 스포츠 빈혈실제 빈혈이 아닌 혈액 희석(혈장량 증가) 현상에서 비롯된 오해일 수 있으나, 철 결핍성 빈혈도 매우 흔하다.
  • 철 결핍은 운동선수의 최대 52% 여성 청소년, 30~50% 지구력 선수에서 나타난다.
  • 철 결핍의 주요 원인: 철 요구량 증가, 식이 제한, 흡수 저하, 손실 증가, 용혈,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 철 흡수 저해 요인: 식물성 식단(피트산, 폴리페놀 등), 만성 탄수화물 제한이 있다.
  • 철 흡수 촉진 요인: 비타민C(아스코르빈산) 등이 있다.

예방법 및 관리법

  1. 운동 강도와 빈도 조절
    과도한 운동은 피하고, 몸 상태에 맞는 운동 계획을 세워야 한다.
  2. 충분한 영양 섭취
    철분이 풍부한 음식(붉은 고기, 생선, 달걀, 시금치 등)과 비타민C를 함께 섭취하면 철 흡수에 도움이 된다. 채식주의자라면 철분 보충제를 고려해도 좋다.
  3. 정기적인 건강검진
    여성, 청소년, 마라토너 등 위험군은 정기적으로 혈액검사를 받아야 한다.
  4. 증상 발생 시 운동 중단 및 진료
    빈혈 증상이 나타나면 일시적으로 운동을 쉬고, 전문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참고 문헌

  1. Harris, S. S. (2000). Exercise-related anemia. Women in sport, 311-320.
  2. Wouthuyzen-Bakker, M., & Van Assen, S. (2015). Exercise-induced anaemia: a forgotten cause of iron deficiency anaemia in young adults.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65(634), 268-269.
  3. Hu, M., & Lin, W. (2012).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red blood cell production: implications for anemia. Acta haematologica127(3), 156-164.

WP2Social Auto Publish Powered By : XYZScripts.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