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 지능(BIF)의 정의, 진단, 치료 및 교육: 최신 연구

경계선 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은 지능지수(IQ) 71~84 범위에 해당하는 상태로, 지적 장애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학업, 직업,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특성을 보인다.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자.


  • 경계선 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은 IQ 점수가 70~85 사이인 사람들을 지칭하며, 일반 인구의 약 13.6%를 차지함.
  • DSM-5-TR과 ICD-11은 BIF를 독립적인 진단 범주로 인정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관심이 필요한 상태’로 분류함.
  • 미국정신의학회(APA)와 세계보건기구(WHO)는 BIF를 지적 장애(ID)로 분류하지 않으나, BIF 대상자들이 지적 장애와 유사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인정함.

진단 방법

BIF는 ADHD, SLD,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등과의 감별이 필요하며, 공존하는 경우가 많음.

  • 주요 평가 도구
    •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 (Vineland-3)
    • Adaptive Behavior Assessment System (ABAS-3)
    • Diagnostic Adaptive Behavior Scale (DABS)
  • 진단 기준 변화
    • DSM-I(1952): IQ 70~85를 “경미한 정신지체”로 분류
    • DSM-II(1968): “경계 정신지체(borderline mental retardation)” 용어 사용, IQ 68~85 범위 적용
    • DSM-III(1980): “V 코드”로 변경하여 질병이 아닌 주의가 필요한 상태로 분류
    • DSM-IV(1994): IQ 71~84 범위를 사용했지만, 임상적 관심이 있을 경우에만 적용
    • DSM-5(2013): IQ 기준을 삭제하고 적응 기능(adaptive functioning)을 중심으로 평가하도록 변경
    • ICD-11(2019): IQ 71~84 범위를 유지하며, DSM-5와 달리 FSIQ 기준을 제시.
  • 감별 진단
    • ADHD: 경계선 지능과 ADHD가 공존하는 경우가 많으며, 학습 및 사회적 적응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특정 학습 장애(SLD): 일반적으로 정상 지능을 가지지만 특정 학업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음. 하지만 학교에서 SLD로 분류된 학생들 중 일부는 경계선 지능 범위에 속하는 경우가 많음.
    •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문제를 보이며, 경계선 지능과 감별이 필요함.
    • 정서적 문제: BIF를 가진 청소년은 학업 실패로 인해 우울 및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음
  • 성인기 경계 지능 평가
    • 성인에서 인지 저하가 발견될 경우, BIF와 후천적 인지 저하(예: 치매)를 감별해야 함.
      • 만성 정신 질환 또는 인지 저하 병력이 있는지
      • 정신과 약물 복용 이력이 있는지
      • 18세 이전에 인지 저하가 시작되었는지
      • 두부 외상 또는 기타 뇌 손상이 있었는지

경계선 지능 유병률

  • 일반 인구에서 BIF의 유병률은 약 12.3%로 보고됨.
  • 범죄자 집단에서 BIF의 유병률은 11~32.1%로 높게 나타남.
  • 다중 약물중독 환자에서 BIF의 유병률은 18%로 확인됨.

경계선 지능 특성

지적 기능

  • 문제 해결, 계획, 추상적 사고 등의 수행 능력에 제약이 있음.
  • 낮은 학업 성취도와 학습의 어려움을 보임.

적응 기능

  • 개념적, 사회적, 실용적 영역에서의 어려움을 겪으며, 독립적인 생활이나 직업 생활에 제약이 있음.
  • 학업 성취 저하, 대인관계 문제, 직업 유지 어려움이 주요 특성으로 나타남.

정신적/행동적 문제

  • 불안, 우울증, ADHD 등 높은 공존율을 보임.
  •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의 어려움과 감별 진단의 필요성이 강조됨.

신체적 특성 및 영양 상태

  • BIF 청소년의 평균 BMI는 21.73±2.26으로 나타났으며, 과체중은 21.4%, 비만은 1.8%로 확인됨.
  • 영양 결핍보다는 과도한 섭취가 문제로 나타나며, 건강한 식습관 형성이 필요함.

치료 및 교육 방법

원인 수정 및 공존 질환 치료

  • 학대, 방임, 부모의 정신 건강 문제 등 환경적 요인 조기 개입 필수.
  • ADHD와 동반된 경우 메틸페니데이트(MPH) 치료가 효과적이나, 지능이 낮을수록 효과 감소.
  • 언어 이해력 저하 시 언어 치료가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가능성 있음.
  • 불안, 우울, 행동 장애 등의 정신과적 동반 질환 치료 시 전반적인 기능 향상 가능.

인지 및 사회 정서 기능 훈련

  • 작업 기억(WM) 훈련이 효과적이며, 맞춤형 코칭 여부와 관계없이 일정한 구조적 훈련이 중요함.
  • 웩슬러(Wechsler) 지능 검사를 활용하여 개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설계 필요.
  • 컴퓨터 기반 WM 훈련이 언어적 단기 기억(Verbal STM) 및 시각적 작업 기억(Visual STM) 개선에 효과적.
  • 사회적 기술 훈련(Social Skills Training, SST) 및 감정 조절 프로그램 적용이 대인관계 및 정서 조절 능력 향상에 도움.
  • 학습 지원 프로그램(예: 보조 학습 자료 활용, 개별 지도) 도입 시 학업 성취 향상 가능.

집중 재활 훈련 및 부모 교육

  • MCNT(움직임, 인지, 감정 서사) 기반 집중 재활 훈련이 표준 언어 치료보다 효과적.
  • 부모 훈련(PCIT) 프로그램에서 가정 내 누적 위험 요소가 많을수록 치료 중도 탈락률이 높음.
  • 부모 대상 교육 및 상담을 통해 자녀의 학습 및 정서 지원 역량 강화 가능.
  • 가족 기반 치료(Family-Based Therapy)를 병행하면 장기적인 치료 효과 증대 가능.

국내 BIF 진단 청소년 112명 대상 연구(2024)

  • 연구 기간: 2024년 1월~2월
  • 연구 대상: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부터 BIF 진단을 받은 112명의 청소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제외)
  • 연구 대상자 특성
    • 성별: 남 66명, 여 46명
    • 평균 연령: 15.61±2.23세
    • 평균 IQ: 74.05±6.15
    • 평균 신장: 164.51±7.34cm
    • 평균 체중: 59.21±9.95kg
    • 평균 BMI: 21.73±2.26
  • 부모 특성
    • 부모 학력:
      • 아버지: 대학 졸업 66.1%, 대학원 졸업 17.9%, 고등학교 졸업 이하 16.1%
      • 어머니: 대학 졸업 71.4%, 대학원 졸업 17.9%, 고등학교 졸업 이하 10.7%
    • 월 소득 분포:
      • 2000달러 미만: 37.5%
      • 2000~3999달러: 48.2%
      • 4000~5999달러: 12.5%
      • 6000달러 이상: 1.8%
    • 부모의 신체 활동 수준:
      • 아버지: 저강도 52.7%, 중강도 32.1%, 고강도 15.2%
      • 어머니: 저강도 55.4%, 중강도 36.6%, 고강도 8.0%
  • 식품 섭취 빈도 (주당 평균 섭취 횟수)
    • 곡류: 쌀밥 5.61회, 라면 4.09회, 시리얼 3.97회, 피자/햄버거 4.07회
    • 육류, 생선, 계란: 소고기 구이 4.22회, 돼지고기 구이 4.13회, 계란 4.38회, 생선구이 4.09회
    • 채소 및 발효식품: 두부 4.29회, 배추김치 4.97회, 무김치 4.38회
    • 과일: 사과 4.26회, 오렌지 4.40회, 바나나 4.21회, 포도 4.13회
    • 유제품: 우유 4.61회, 요거트 4.20회, 치즈 4.28회
    • 간식: 과자 4.36회, 사탕 4.18회
  • 체질량지수(BMI) 분석
    • 과체중(85백분위 이상): 21.4%
    • 비만(95백분위 이상): 1.8%
    • BMI 예측 요인: 연령(β=-0.282, p=0.042, OR=0.745)이 85백분위 이상 BMI의 유의미한 예측 인자로 나타남.

참고 문헌

  1. Peltopuro, M., Ahonen, T., Kaartinen, J., Seppälä, H., & Närhi, V. (2014).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52(6), 419-443.
  2. Orío‐Aparicio, C., López‐Escribano, C., & Bel‐Fenellós, C. (2025).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 Scoping Review.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3. Kim, J. S., Kang, H. C., & Park, M. E. (2025). Nutritional Status and Body Composition of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South Korea.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54(3), 663-664.
  4. Lee, S. Y., & Cheon, K. A. (2024). Epidemiology and diagnosis of slow learners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35(3), 175.
  5. Lee, S. H. (2024). Treatment, education, and prognosis of slow learners (borderline intelligen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35(3), 192.
WP2Social Auto Publish Powered By : XYZScripts.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